타로
라엘
판매상품 (1)
분명 서로 좋아하는 것 같은데,
막상 관계를 확실하게 정의하려고 하면
애매하게 피하고,
그냥 지금이 좋다며 말을 흐린다.
나만 설레고 있었던 걸까?
나만 진지했나?
헷갈리고 답답한 마음에
괜히 나 자신만 작아지는 느낌.
‘얘는 도대체 무슨 생각일까?’
분명 나에게 마음이 없는 건 아닌 것 같은데,
왜 이 관계를 시작하지 않는 걸까?
이 반복되는 썸의 늪 속에서
나 혼자만 감정 소모하는 것 같아 점점 지쳐간다.
😍썸만 타는 남자의 심리 –
왜 그들은 끝까지 가지 않을까?
썸만 타고 끝까지 가지 않는 남자들을 보면,
감정은 나누지만 결정은 미루고,
거리는 좁히면서도
책임은 회피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인다.
하지만 이런 행동은 단순히
‘나쁜 남자’라는 틀 안에 가두기엔
복잡한 심리적, 철학적 이유가 존재한다.
🩷첫째, 확신의 결핍과 감정적 테스트
썸을 지속하는 남자들은 대부분 스스로도
감정에 확신이 없다.
호감은 있지만 관계를 책임질 만큼의
감정적 확신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상대방의 반응을 통해
자신의 매력을 확인하려는
‘자존감 테스트’를 반복한다.
이는 자신의 가치를 타인의 반응으로
검증받으려는 무의식적 심리로,
관계의 진전을 스스로 멈추게 만든다.
🩷둘째, 감정 회피형 애착 스타일
심리학적으로 회피형 애착을 가진 사람들은
깊은 관계로 갈수록 감정적 부담감을 느끼며
스스로 거리를 둔다.
썸 단계의 가벼운 교감은 즐기지만,
연애라는 깊은 감정의 장으로 넘어가는 순간,
스스로, 본능적으로 감정적 울타리를 쳐버린다.
그들에게 썸은 ‘가벼운 친밀감’의
안전지대인 셈이다.
🩷셋째, 남성의 생리학적 특성과 도파민 중독
남성은 신체적으로 ‘정복 욕구’를 기반으로
도파민 분비가 활발해지지만,
도파민은 익숙해지는 순간
빠르게 흥미를 잃게 한다.
썸 단계에서의 설렘은
그들에게 끊임없이 새로운 도파민 자극을 주지만,
관계가 안정기에 들어서면
도파민의 자극이 떨어지고,
오히려 부담감으로 다가올 수 있다.
🩷넷째, 철학적 선택지 미루기 –
사르트르적 회피
철학적으로 보면,
이들은 존재의 불안 속에서
선택 자체를 미루며
자유를 계속 연기,
지속하는 방식으로 삶을 살아간다.
진짜 관계로 가는 순간,
스스로의 자유가 제한될 것 같은
두려움에 빠진다.
그래서 ‘아직은 때가 아니다’,
‘조금 더 지켜보자’며
결정의 순간을 계속 뒤로 미룬다.
🩷다섯째, 단순한 외로움 해소와 감정적 공백 채우기
현대 사회에서
남성들도 외로움과 소통에 대한 욕구가 깊다.
하지만 감정적으로 솔직해지거나
상처받는 걸 두려워하는 경우,
진지한 관계로 가기보다는
썸이라는 애매한 관계를 통해
외로움을 잠시 덮어두려 한다.
🥀결국 썸만 타는 남자들의 심리는
‘확신 없는 설렘’과
‘책임 없는 감정 소모’를 반복하는 모순적 심리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자존감 부족, 감정적 회피, 생리적 도파민 중독, 존재의 불안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이런 남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상대방의 끊임없는 설득이 아니다.
그들이 스스로 자신의 감정적 회피를 직면하고,
책임질 수 있는 관계로 나아가려는
내적 각성이 필요하다.
그 전까지는, 썸은 결국, 썸일 뿐이다.
댓글 쓰기